2025/08/10 3

지방 폐유산지를 배경으로 한 심야 라디오 프로그램 기획안

밤이 되면 사람도, 빛도, 시간도 멈추는 듯한 폐허의 문화유산 공간이 있습니다.대부분은 오래된 절터, 향교, 정자, 혹은 작은 성벽 터 같은지방 곳곳에 흩어진 기록되지 못한 유산지입니다.이들은 낮에는 무관심 속에 방치되고,밤에는 마을에서도 잊힌 공간이 되어 갑니다.하지만 오히려 그런 고요함 속에서목소리와 이야기, 음악이 흘러나온다면 어떨까요?최근에는 이러한 유산 공간을 배경으로‘심야 라디오 방송’을 기획해 정서적 콘텐츠 플랫폼으로 전환하는 실험적 시도가 주목받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지방 폐유산지를 배경으로 한 야간 라디오 프로그램을 어떻게 기획하고 운영할 수 있는지실제 사례 기반으로 구성한 전략 기획안을 소개합니다. 1. 기획 배경: 말 없는 공간에, 말이 흐르게 하는 콘텐츠- 왜 폐유산지에 ‘심야 방..

버려진 유산지에서 진행된 1인 미디어 체험 교육 캠프 사례

지역의 폐유산지나 버려진 문화재는관리 예산 부족, 콘텐츠 부재, 접근성 문제 등으로 인해문화재적 가치는 있으나 실질적 활용도가 낮은 공간으로 분류되곤 합니다.이러한 장소는 보존의 대상일 뿐 아니라,새로운 세대에게 창작과 체험의 장으로 전환될 가능성도 함께 지니고 있습니다.특히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유튜브, 브이로그, 숏폼 콘텐츠 등 1인 미디어 콘텐츠 제작 수요가 증가하면서이를 문화유산 현장과 연계한 체험형 교육 캠프로 확장한 사례가 주목받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충청북도 제천의 폐한옥 유산지를 배경으로 진행된‘1인 미디어 체험 교육 캠프’ 사례를 중심으로,기획 배경, 프로그램 구성, 참여자 반응, 지속 운영 전략까지콘텐츠 기획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소개합니다. 1. 캠프 배경: 활용되지 않던 문화유산..

마을 잔해 문화재를 배경으로 재활용한 ‘디지털 다큐멘터리 시리즈’ 제작 전략

우리나라 곳곳에는 사람이 떠난 마을과 그 속에 남겨진 문화재가 존재합니다.폐교된 학교, 무너진 토담집, 잡초에 덮인 우물, 지붕이 없는 사당 등한때는 공동체의 중심이었지만 이제는 ‘흔적’으로만 존재하는 공간들입니다.이런 유산은 보존 가치가 높음에도,대중적 접근이 어렵고 콘텐츠화가 되지 않아기록되지 못한 채 사라지고 있는 실정입니다.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주목받는 콘텐츠 형식이바로 ‘디지털 다큐멘터리 시리즈’입니다.특히 마을의 잔해 문화재를 중심으로사람의 기억과 시각적 서사를 결합한 미니 다큐 시리즈는공공 콘텐츠, 아카이빙, 관광 스토리텔링, 교육 자료 등다양한 분야로 확장될 수 있는 고효율 콘텐츠 전략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실제 사례와 함께마을 잔해 문화재를 배경으로 한 디지털 다큐멘터리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