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산업의 흐름 변화와 시설 노후화로 문을 닫은 호텔들은 종종 지역의 흉물로 방치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은 기존 인프라와 규모를 활용하면, 새로운 문화·창작 공간으로 재생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일부 지자체와 민간 문화단체는 버려진 호텔을 ‘지역 크리에이터 레지던시’로 변모시키는 시도를 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 예술 생태계와 경제 활성화에 동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번 사례는 한 해안도시의 1970년대 관광 붐을 상징했던 3층 규모의 옛 관광 호텔이 20여 년간 방치된 뒤,
지역 창작자들의 장기 체류와 창작 활동을 지원하는 레지던시 공간으로 재활용한 과정을 다룹니다.
이 글에서는 기획 배경, 설계·운영 과정, 성과, 향후 확장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
기획 배경과 목표
대상 호텔은 1975년 개관하여 전성기에는 지역 대표 숙박 시설이었지만,
1990년대 후반 이후 관광객 감소와 신축 호텔 등장으로 경쟁력을 잃었습니다.
2000년대 초 폐업한 뒤, 건물은 유지관리 없이 방치되어 주변 미관을 해치고 안전 문제까지 제기되었습니다.
지자체와 지역 문화재단은 이 건물을 철거하지 않고 창작·교류·전시 기능을 갖춘 레지던시로 재생하는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목표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 유휴 건물 재활용을 통한 환경 부담 완화
- 지역 청년·외부 크리에이터의 창작 활동 지원
- 관광지의 새로운 문화 콘텐츠 창출
- 장기 체류형 창작 생태계 조성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
공간 설계와 개조 과정
호텔 리모델링은 안전 보강 → 공간 재구성 → 창작 환경 조성 → 커뮤니티 기능 부여 순으로 진행되었습니다.
- 안전 보강
- 노후 배관과 전기 설비 전면 교체
- 내진 보강과 외벽 방수 처리
- 소방·피난 시스템 재설치
- 공간 재구성
- 객실 → 1인 또는 2인 작업실 + 숙소로 개조
- 로비 → 갤러리 겸 카페로 변환
- 연회장 → 대형 워크숍·강연 공간으로 활용
- 옥상 → 야외 전시·공연 무대
- 창작 환경 조성
- 작업실마다 조명·환기·방음 설비 설치
- 공동 장비실(3D 프린터, 목공 도구, 음향 장비) 마련
- 고속 인터넷과 화상회의실 제공
- 커뮤니티 기능 부여
- 공용 주방과 라운지 설치로 입주자 간 교류 촉진
- 지역 주민도 이용 가능한 오픈 스튜디오 운영
운영 방식과 프로그램 구성
레지던시는 연 2회 입주자를 모집하며, 국내외 시각예술·음악·영상·공예 분야 창작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입주자는 3~6개월간 숙소와 작업 공간을 무상 제공받고, 대신 최소 한 차례 지역 주민 대상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합니다.
주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오픈 스튜디오 데이: 입주자가 작품 제작 과정을 공개
- 지역 협업 프로젝트: 주민과 함께하는 공공미술, 공연, 전시
- 크리에이티브 마켓: 창작물 판매와 네트워킹 행사
- 관광 연계 콘텐츠: 지역 명소를 주제로 한 사진전·영상제작
성과와 파급 효과
개관 첫 해, 18명의 크리에이터가 입주했고,
이들이 진행한 전시·공연·워크숍에는 4,500명 이상의 관람객이 방문했습니다.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내 창작자 네트워크가 강화되었으며,
일부 외부 작가는 지역에 정착해 스튜디오를 열기도 했습니다.
호텔 부지 인근 상권 매출이 평균 12% 증가했고, 청년층의 지역 재방문율도 높아졌습니다.
프로젝트는 환경부와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 사례로 선정되었으며,
‘유휴 건물의 창의적 재활용’ 모델로 전국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방치된 옛 관광 호텔을 지역 크리에이터 레지던시로 바꾼 사례는
공간 재생, 예술 지원,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세 가지 가치를 동시에 실현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버려진 건축물이 새로운 창작 생태계의 거점으로 변모할 수 있음을 증명했고,
창작자와 주민, 관광객이 함께 호흡하는 지속 가능한 문화 플랫폼을 만들어냈습니다.
향후 이런 모델이 다른 지역에도 확산된다면, 전국의 버려진 호텔이 문화와 창작의 중심지로 다시 살아날 수 있을 것입니다.
'문화재 재활용 > 새로운 문화재 재활용 콘텐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려진 문화재를 재활용한 지역 소셜디자인 실험 사례 (공공디자인) (1) | 2025.08.18 |
---|---|
버려진 옛 관광지 시설물을 재활용한 리사이클 예술관 설계 사례 (1) | 2025.08.18 |
버려진 절터를 활용한 ‘하루 명상 투어’ 프로그램 기획 (1) | 2025.08.17 |
지역 구술 유산을 청년 디자이너가 시각화한 미디어 콘텐츠 사례 (1) | 2025.08.17 |
유산터를 활용한 지역 고등학생 리서치 전시 프로젝트 (1) | 2025.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