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 재활용/새로운 문화재 재활용 콘텐츠

관광객이 끊긴 유산 공간에서 진행된 가드닝 프로젝트 기획안

by barengilnews 2025. 8. 13.

관광객의 발길이 끊긴 유산 공간은 시간이 흐를수록 훼손과 노후가 가속화되며, 관리 예산 부족으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공간은 역사적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관심과 활용이 줄어들면서 사실상 ‘죽은 공간’으로 변해갑니다.
최근 몇 년 사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드닝 프로젝트를 도입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가드닝 프로젝트는 단순한 조경 사업이 아니라, 지역 주민과 방문객이 함께 유산 공간의 생태를 복원하고,

계절별 경관을 가꾸며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내는 장기적 재생 전략입니다.

버려진 유산 공간에서 진행된 가드닝 프로젝트


이번 기획안은 관광객이 끊긴 한 유산 공간을 대상으로,

가드닝을 통해 역사적 공간을 재활성화하고 문화·생태·경제적 효과를 창출하는 구체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합니다.

 

기획 배경과 목표

 

해당 유산 공간은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건축물과 주변 마당, 성벽 일부가 남아 있었으나, 최근 수년간 관광객이 급감하여 방치 상태에 놓였습니다.
봄과 여름에는 잡초가 무성하고, 가을과 겨울에는 황량한 경관이 지속되어 방문객 유입이 더욱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이에 기획자는 가드닝 프로젝트를 통해 계절마다 다른 경관을 제공하고,

공간의 매력을 회복하는 동시에 지역민의 참여를 확대하고자 했습니다.
프로젝트의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유산 공간의 경관과 생태 복원
  • 시민 참여형 관리 시스템 구축
  • 가드닝을 통한 문화·관광 콘텐츠 창출
  • 방문객 재유입 및 지역 경제 활성화

 

프로젝트 구성 요소

 

가드닝 프로젝트는 단순한 화단 조성에 그치지 않고, 스토리텔링과 체험형 프로그램을 결합해 구성됩니다.

  1. 역사 스토리 가든
    • 유산의 역사와 관련된 식물을 선정해 테마 화단 조성
    • 예: 성곽 시절 병사들이 먹었던 약초, 전통 혼례식에 사용된 꽃 등
  2. 계절별 플라워 페스티벌
    • 봄: 튤립·철쭉 축제
    • 여름: 허브 가든 워크숍
    • 가을: 국화 전시와 포토존
    • 겨울: 조명과 결합한 겨울 정원
  3. 참여형 가드닝 클래스
    • 지역민과 관광객이 함께하는 주말 원데이 클래스 운영
    • 가드닝 도구·식물 제공, 참여 인증서 발급
  4. 친환경 관리 시스템
    • 빗물 재활용 급수 시스템 설치
    • 퇴비 자급화를 위한 지역 푸드 웨이스트 활용

 

실행 절차

 

가드닝 프로젝트는 기획–준비–운영–평가의 4단계로 진행됩니다.

  1. 기획 단계
    • 유산 공간의 현황 분석 및 가드닝 테마 설정
    • 참여 단체·전문가·지역 상인회와 협의
  2. 준비 단계
    • 토양 정비, 구조물 보수, 식물 선정 및 구매
    • 홍보 계획 수립: SNS, 지역 방송, 관광 웹사이트 활용
  3. 운영 단계
    • 계절별 가드닝 일정에 맞춰 상시 관리
    • 주말·공휴일 특별 이벤트 개최
  4. 평가 단계
    • 방문객 수, 경제 효과, 주민 만족도 조사
    • 성과 분석 후 다음 해 계획에 반영

 

기대 효과와 확장 가능성

 

이 프로젝트는 단기간 내 방문객 유입과 함께 장기적 브랜드 자산 형성이 가능합니다.

  • 문화적 효과: 유산 공간이 지역민의 생활 속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
  • 생태적 효과: 다양한 식물종 복원, 도시 생물다양성 강화
  • 경제적 효과: 방문객 증가로 인한 인근 상권 매출 상승
  • 확장 가능성: 다른 유산 공간과 연계한 ‘가드닝 투어 코스’ 개발 가능

향후에는 가드닝 축제를 전국 규모로 확장하거나, 해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K-가드닝 체험 프로그램’으로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관광객이 끊긴 유산 공간은 단순한 복원 사업만으로는 지속적인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가드닝 프로젝트는 역사성과 생태성을 동시에 살리면서도 시민과 방문객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이 전국적으로 확대된다면,

우리는 방치된 유산 공간을 계절마다 새로운 이야기를 담는 살아있는 문화 무대로 바꿀 수 있을 것입니다.